2.1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현황
치료 중심의 기존 헬스케어 분야가 데이터 기반 스마 트 헬스케어로 변화하면서, 헬스케어 생태계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. 4차 산업혁명 시대는 ‘데이터 기반 혁명’을 중심으로 시작되고 있으며, 클라우드, 사물인터넷, 빅데이터, 인공지능 등 데이터 기반 산업이 부상하고 있다. 또한 의료데이터(EMR), 생활건강데이터(Life log Data, PHR), 유전정보 등 다양한 데이터의 통합 연계를 통해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구축하고, 스마트 헬스케어 산업에서는 개인 데이터와 정보를 활용하여 ‘개인에 대한 맞춤 제품 및 맞춤 서비스’를 제공할 수 있다.
이러한 헬스케어 패러다임 변화와 글로벌 혁신 환경 변화에도 불구하고, 아직까지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는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다. 개인정보보호법, 의료법뿐만 아니라 데이터 경제사회에서 발생하는 프라이버시 문제, 헬스케어 데이터 관리 문제 등 대부분 헬스케어 생 태계는 ‘정보의 보호’에 중점을 두고 있어 ‘정보의 활용’에 대한 관점이 매우 미흡한 상황이다.
뿐만 아니라 스마트 헬스케어를 통해 삶의 질을 제고하고 복지를 확대할 수 있으며 신성장동력을 창출하여 경제성장을 선도할 것으로 기대되지만, 국내외 의료정보시스템은 의료기관 중심으로 운영되는 등 다양한 갈등 상황으로 인해 산업 발전 기반이 구축되지 못하고 있다.
스마트 헬스케어의 사회경제적 파급 효과를 극대화하고 미래 성장동력화 하기 위해서는,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내 ‘헬스케어 데이터 정보의 활용 환경을 투명하고 개방적으로 활성화’하는 것이 무엇보다 시급하다. 특히 분절적이고 단선적으로 공유 ・ 활용되는 데이터와 정보의 효율적인 공개, 공유 및 통합을 독려하는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서비스 활성화가 필요한 시점이다.
Last modified 1yr ago