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EMONCHAIN_KOR
WhitePaper
  • LEMONCHAIN 소개
  • LEMONCHAIN 특징
  • HBN (Healthcare Blockchain Network) 소개
  • 📖WhitePaper
    • 1. 초록(Abstract)
    • 2. 서론
      • 2.1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 현황
      • 2.2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의 중요성
      • 2.3 헬스케어 데이터의 역할
      • 2.4 레몬체인 팀의 미션
    • 3. 레몬체인, 새로운 헬스케어 데이터 생태계
      • 3.1 데이터 사용자의 높은 권한
      • 3.2 생태계 내 참여 서비스들의 엄격한 관리 기준
      • 3.3 투명한 데이터 관리 기준 공개
      • 3.4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생태계 구조
      • 3.5 웰니스에 대한 인센티브
      • 3.6 헬스케어 빅데이터 검색 서비스
      • 3.7. HBN (HealthCare Blockchain Network) 개요
    • 4. 레몬체인 기술적 세부사항
      • 4.1 첫 번째 레이어: 데이터 축적
      • 4.2 두 번째 레이어: 데이터 조회
      • 4.3 세 번째 레이어: 데이터 활용
    • 5. 레몬체인, 비즈니스 플로우
      • 5.1 완전한 탈중앙화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
      • 5.2 데이터 업로드
      • 5.3 결제
      • 5.4 대금의 지급
      • 5.5 데이터 마켓 플레이스
      • 5.6 Staking에 따른 헬스케어 서비스 제공 가능량 보증
      • 5.7 분쟁의 조정
      • 5.8 수수료
      • 5.9 부가 사업자
        • 5.9.1 정보 사업자
        • 5.9.2 정산 사업자
        • 5.9.3 보험 사업자
    • 6. 레몬체인 생태계의 미래
      • 6.1 ‘헬스케어 데이터 & 서비스’ 레고(LEGO) 방식 채용
      • 6.2 디파이(DeFi) 시스템 적용
        • 6.2.1 AMM(Automated Market Maker): 자동화된 시장 메이커
        • 6.2.2 랜딩 프로토콜(Lending Protocols):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예대마진 모델
        • 6.2.3 합성자산: 특정 자산의 가격을 추종하는 토큰 발행
        • 6.2.4 헬스케어 데이터 NFT 분할 소유권 거래 서비스
    • 7. 토큰 모델
      • 7.1 LEMC 토큰 개요
      • 7.2 LEMC 토큰 Pool
      • 7.3 토큰 Allocation
    • 8. 로드맵
    • 9. 타임라인
    • 10. 기타(법적 고지 사항 등)
Powered by GitBook
On this page
  1. WhitePaper

1. 초록(Abstract)

PreviousHBN (Healthcare Blockchain Network) 소개Next2. 서론

Last updated 1 year ago

헬스케어 분야에 혁신적인 바이오 기술과 함께 빅데이터, 정보통신(ICT), 인공지능기술(AI)이 급속히 융합되면서, 보건의료 분야의 단계별 제품 ・ 서비스의 생산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있다. 이에 맞춰 대형병원을 중심으로 개인건강정보에 대한 환자 접근성을 강화하고 헬스케어 데이터 · 정보 제공 서비스를 지원하기 시작하였으나, 유무선 통신을 활용한 열람의 허용 역시 ‘본인에 관한 기록의 열람 또는 그 사본의 발급 등 내용의 확인’일 경우로 한정적이고 노후화된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.

그렇기에 레몬체인은 의무기록의 탈중앙화와 환자의 데이터 자기결정권을 가질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헬스케어 데이터 · 정보 오픈 생태계를 만들려고 한다. 레몬체인 생태계는 개인이 본인의 의료정보에 쉽게 접근하고 데이터를 활용 가능하게 하여 의료기관과 환자 간의 정보 비대칭성을 줄이고 소비자(환자, 일반인)가 적극 참여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이해당사자 간 상호 보상이 가능한 구조이다. 또한 헬스케어 데이터 · 정보 정의 및 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고, 활용에 대한 허용 기준을 구체화하여 헬스케어 데이터 · 정보의 재분류(일반정보, 비식별 정보, 민감정보 등) 및 차등 규제(비식별화, 익명화 수준 등)에 대한 방안 모색과 민감정보 정의 · 범위에 대한 주기적 검토 시스템을 마련할 예정이다.

이에 본 백서에서는 스마트 헬스케어 생태계의 가장 중요한 자원이자 인프라인 ‘헬스케어 데이터 정보의 교류와 활용’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, 헬스케어 블록체인 네트워크 기반 레몬체인 생태계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.

📖